배리 린든은 18세기를 배경으로 레드몬드 배리가 7년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고 배리 린든이라는 칭호를 받게 된 것과 그로 인해 합류한 상류층에서 어떻게 몰락하는지에 관한 내용을 다룬 영화다.
이 영화는 메인 주제곡으로 헨델의 사라방드를 사용하고 있다. 사라방드는 영화 상 배경이 되는 시기인 18세기, 즉 바로크 시대의 음악이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사라방드 자체는 헨델이 작곡한 것이 아닌 이전부터 전해져오던 노래들을 모은 일종의 모음집으로, 헨델의 버전이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랑받았을 뿐이다. 여기서 나는 노래와 영화 내용의 일치를 찾을 수 있었다.
사라방드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한 팩트는 없다. 하지만 찾아보니 16세기 멕시코의 한 문헌에서 사라반다 라는 말이 기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단정지을 수는 없으나 멕시코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유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당시 멕시코는 아즈텍 문명이 스페인에게 종속 및 식민화 되고 있었다. 즉, 영화의 배리처럼 귀족이 아닌 보잘 것 없는, 귀족의 입장에서는 어찌보면 하등하고 외설적인 존재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하등하고 외설적인 노래가 스페인으로 넘어가 스페인에 널리 퍼지고 특히 궁정에서도 춤을 추는 데 즐겨 사용하기 시작했다. 마치 영화 속에서 배리가 린든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귀족 사회에 발을 디딘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 영광도 썩 오래가지는 않았다. 귀족들의 음악이 되어버린 사라방드는 지나치게 자유분방하고 관능적이라는 이유로 당시 교회의 막강한 권력으로 금지시켜버리며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잠깐 사라진다. 이야기 속 배리가 상류층 사회에서 몰락하는 모습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한편, 헨델의 사라방드는 강렬하고 굵은 음과 가늘면서도 섬세한 선율이 공존한다. 이는 영화 전반의 분위기와도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다. 배리 린든은 조명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자연광과 촛불만을 사용한 작품으로 유명하다. 즉, 현대 영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강렬한 조명을 사용하지 않고 부드럽고 섬세한 자연광을 사용하여 18세기의 분위기를 잘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강렬하고 굵다. 사라방드와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로 돌아가서, 스탠리 큐브릭의 카메라 구도가 정말 섬세하다고 느꼈다. 물론 지금이야 흔한 구도고 연출이지만, 영화가 제작될 당시를 생각해보면 그 당시에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이야기를 끌어 나가는 데에 가장 적절한 구도를 사용한 느낌이었다. 원 전공이 경영학이고 미디어는 이번이 첫 학기라 이걸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느낄 수 있었다.
당대의 음악가인 헨델과 당대의 영화감독인 스탠리 큐브릭. 이들은 모두 뛰어난 콘텐츠 제작자라고 불릴만하다. 이들은 관객들, 즉 고객들의 경험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 특히 스탠리 큐브릭은 이 영화에서는 헨델의 음악을 사용했다. 아마, 헨델의 음악으로부터 받은 감명이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여기서 얻은 감명으로 어떤 콘텐츠를 제작해나갈 수 있을까, 생각해봐야겠다.
'NASAN's Study > 학부 과제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뮤니케이션개론 기말고사] 공영방송, 외주제작, 디지털 혁명, 대중문화의 의미, 대중문화 옹호론과 비판론, 한류(K-Culture)의 글로벌화, 기술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 | 2023.08.16 |
---|---|
[영화와클래식 과제] 영화 <엘비라 마디간> 리뷰 (0) | 2023.08.15 |
[스토리텔링과디지털콘텐츠 과제] 영화 <만신> 감상 (0) | 2023.08.12 |
[스토리텔링과디지털콘텐츠] 프란츠 카프카 -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 (독후감) (0) | 2023.08.12 |
[스토리텔링과디지털콘텐츠 과제] 스토리텔링 그리고 경영 -동굴벽화와 굿이라는 콘텐츠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1) | 2023.08.11 |